💊 안 아픈 게 재테크 탈모, 이제 사회적 질병일까요?글, 호약사
👉 지난화 보러가기
📌 젊을 때 챙겨야 할 것은 경제력만이 아닙니다. ‘체력’도 경제력만큼 중요해요. 건강은 생각보다 재테크와 큰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가 항상 고민하는 보험과 연금, 그리고 내 집 마련도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한 준비 과정이니까요. ‘건강하기’ 재테크를 위해 약사 호약사 님과 함께하는 <안 아픈 게 재테크>를 준비했습니다.
점점 늘어나는 탈모 인구, 그만큼 커지는 지출 부담
우리나라 전체 탈모 인구 중 절반 가까이가 청년이라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국민건강보험에 따르면, 2020년 탈모로 병원 치료를 받은 약 23만 명 중 10만 명이 20대~30대였어요.
탈모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면서, 진료비 지출도 커졌습니다. 2021년 연간 탈모 총 진료비는 419억 9,779만 원으로, 2017년(286억 4천만 원)보다 46.6%나 늘었어요.
혹시 나도 탈모일까?
어느 날부터 머리카락이 많이 빠져서 ‘나도 탈모 아닐까’ 걱정했던 적 있으신가요? 다음과 같은 상태를 탈모라고 해요.
✔️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 ✔️ 두피의 굵고 검은 머리카락이 빠지는 경우 ✔️ 하루에 모발이 100개 넘게 빠지는 경우
탈모는 원인에 따라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휴지기 탈모, 기타 약물 등에 의한 탈모로 나눌 수 있어요.
이 중에서는 남성형 탈모가 가장 흔합니다. 남성호르몬(Androgen)과 유전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어요.
여성형 탈모는 주로 정수리의 모발이 적어지고 가늘어지는 증상으로 발현됩니다. 출산 약 3개월 뒤에 나타나는 ‘출산형 탈모’도 많은 여성들이 경험하는 탈모 증상이에요.
탈모가 내 지갑에 미치는 영향
탈모약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100% 본인 부담인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탈모라는 질환이 ‘업무 또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 해당돼, 비급여 대상이거든요.
그런데 탈모는 장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질환입니다.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비싼 데다, 장기 치료가 필요해서 소득이 적은 청년층에게는 더 큰 부담이에요.
한편, 청년층에서 탈모가 가속화되는 이유로 학업 경쟁과 취업난이 언급되기도 합니다. 청년 탈모를 ‘사회적 질병’으로 보는 거죠.
사회적 질병인 만큼, 개인이 그 비용을 모두 부담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와요. 재정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이나 건강보험을 적용해서 사회가 부담을 나눠야 한다는 의견이에요.
실제로 사회적인 인식이 달라져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시작한 사례도 있어요. 대표적으로 ‘비만대사수술’은 2019년부터 건강보험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예전에는 ‘미용’으로 여겨져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았지만, 비만으로 인한 사회 전반적인 손실이 늘어나자 사회적 합의가 이뤄진 거예요.
지자체도 나서고 있어요
최근에는 청년들의 탈모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자체에서 나서기 시작했어요. 한 예로 작년 5월에는 서울시 성동구에서 ‘청년 탈모 치료 지원 조례’가 제정됐습니다.
조례 제정 이후, 성동구는 올해 3월부터 ‘성동구 청년 등 탈모 치료비 지원 사업’을 시작했어요. 만 39세 이하 성동구 주민이 탈모증 진단을 받은 경우, 약제비 명목으로 연간 20만 원 한도에서 지원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충남 보령시와 대구광역시에서도 조례가 통과됐어요. 보령시는 1년 이상 거주한 만 49세 이하 시민에게 2년 동안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한다고 해요.
서울시에서도 청년 탈모 지원 조례안이 발의되었지만, 아직 보류 중입니다. 이 정책의 우선순위와 형평성 등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어요. 관련된 갑론을박도 계속 이어지고 있고요.
탈모 예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탈모로 인한 청년층의 부담과 ‘사회적 질병’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지자체의 노력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탈모 예방법을 정리해 볼게요.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공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머리를 감아 두피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해야 합니다. 특히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저녁에 머리를 감는 것이 좋아요.
단백질과 비타민 등 충분한 영양 섭취도 탈모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돼요. 무리한 다이어트는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비오틴’을 복용하기도 해요
‘비오틴’은 남녀노소 복용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탈모약이에요. 비오틴은 비타민B7으로, 모발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비타민H’라는 별명도 있답니다.
비오틴은 탈모, 손발톱 강화, 혈당 안정화 목적으로 국내에서는 하루 5mg짜리 알약으로 나오고 있어요. 외국에서는 10mg 용량도 사용됩니다.
일반의약품이아닌, 건강기능식품으로분류되는비오틴은보통 900ug 이하로구성돼있어서탈모에큰효과가없을수있어요. 내상태를기준으로살피되, 제품별용량도잘보고구매해야합니다. |
5월 8일(월): 일본 기시다 총리 방한, 에스엠 소속 ‘에스파’ 컴백, NAVER·SK네트웍스·콘텐트리중앙·삼화페인트·한국항공우주 등 실적 발표, 트루엔 공모주 청약(~9일), 엠피씨플러스 상장폐지, 미국 3월 도매재고지수·4월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치 발표, 한국거래소 코스피 USD 현물 지수 발표
5월 9일(화): 국내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발표, 위메이드·위메이드맥스·롯데렌탈·크래프톤·GS·현대백화점·이노션 등 실적 발표, 씨유박스 공모주 청약(~10일)
5월 10일(수):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구글 폴더블폰 ‘픽셀 폴드’ 발표 예정, 국내 3월 국제수지·4월 고용동향 발표, 일동제약·강원랜드·GKL·파라다이스·SK텔레콤·신세계·엔씨소프트 등 실적 발표, 모니터랩 공모주 청약(~11일)
5월 11일(목): 미국 4월 생산자물가지수 발표, MSCI 반기 리뷰, LG·더블유게임즈·컴투스·네오위즈·에스엠·NHN·KT·펄어비스 등 실적 발표, 중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생산자물가지수 발표, 미국 입국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 종료
5월 12일(금): 국내 3월 통화 및 유동성, 삼성화재·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등 실적 발표, 미국 4월 수출입물가지수·5월 미시건대 소비심리평가지수 발표
① 물가: 4월에도 외식 물가가 오름세였어요. 특히 햄버거 물가는 작년에 비해 27.8%나 올랐습니다.
② 다음(Daum): 다음과 카카오가 합병한 지 9년 만에 헤어질 수도 있대요. 카카오가 다음을 사내 독립회사(CIC)로 분리하기 때문인데, 매각하거나 정리할 가능성도 있어요.
③ 할인매장: 코스트코 같은 창고형 할인매장이 인기예요. 롯데마트와 이랜드 등 국내 기업들도 창고형 할인매장을 키우고 있습니다.
④ 취업: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고 있어요. 4월 기준, 경제활동 참가율은 69.2%, 고용률은 67.1%를 보였습니다.
⑤ 환불: 헬스장 등에서 이벤트 할인 가격으로 결제하고 환불을 요구했을 때, 환불이 불가능하다고 답하거나 훨씬 적은 금액을 돌려주는 경우가 있어요. 네, 불법이에요.
📊 그래픽뉴스
한국과 중국의 양육비 논쟁
글, 정인
우리나라의 양육비 부담이 가장 크대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인당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에서 양육비 부담이 가장 큰 국가는 한국이라고 보도했어요. 보도에 인용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이 1인당 GDP의 7.8배를 양육에 지출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를 중국이 바짝 추격하고 있습니다.
계산에 오류가 있었어요
단, 해당 보고서에는 오류가 있었어요. 보고서에서 참고한 우리나라 자료는 2012년 보건사회연구원 자료인데, 자녀 1명을 대학 졸업까지 양육하는 데 3억 9천만 원이 든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중국 자료는 2021년 시점의 자료를 만 18세까지만 적용해 비교 범위와 시점이 달라요. 우리나라 양육비가 중국에 비해 과다하게 계산된 거예요.
그럼에도 부담이 큰 건 사실이에요
정인: 실제로 우리나라 양육비 부담은 계속 커지는 중이에요. 중소기업에 다니는 30대 평균 월 소득(통계청)의 28%~33%를 차지하는데, 두 명 이상 낳는다고 생각하면 월 소득의 절반 이상을 각종 교육비와 돌봄비 등에 지출해야 합니다. 공교육 부담은 거의 없지만, 사교육비 지출이 커요.
🍎증권
애플의 올해 첫 실적은?
글, JYP
애플이 분기 실적을 공개했어요
현지 시간 4일, 애플이 1~3월 실적을 발표했어요. 매출은 948억 4천만 달러(약 125조 원), 순이익은 241억 6천만 달러(약 32조 원)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조금씩 줄었습니다. 그래도 시장이 예상한 것보다는 좋은 실적이에요.
아이폰이 실적을 이끌었어요
애플의 매출은 2분기 연속 줄고 있어요. 이렇게 연속으로 매출이 줄어든 건 10년 만의 일이에요.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원인이라서, 경기가 회복되기 전까지는 분위기를 반전하기 어려울 거예요. 그래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어려운 와중에 아이폰 매출은 잘 나왔습니다. (🗝️)
신흥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요
애플은 인도, 인도네시아, 라틴아메리카, 중동 등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요. 특히 인도 사업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작년 1~3월에 비해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인구도 많은 데다 중산층이 늘고 있어, 앞으로 주요 시장으로 보고 있다고 해요. 지난 4월에는 인도 뭄바이와 뉴델리에 오프라인 매장을 열었습니다.
💊 안 아픈 게 재테크
탈모, 이제 사회적 질병일까요?
글, 호약사
📌 젊을 때 챙겨야 할 것은 경제력만이 아닙니다. ‘체력’도 경제력만큼 중요해요. 건강은 생각보다 재테크와 큰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가 항상 고민하는 보험과 연금, 그리고 내 집 마련도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한 준비 과정이니까요. ‘건강하기’ 재테크를 위해 약사 호약사 님과 함께하는 <안 아픈 게 재테크>를 준비했습니다.
점점 늘어나는 탈모 인구,
그만큼 커지는 지출 부담
우리나라 전체 탈모 인구 중 절반 가까이가 청년이라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국민건강보험에 따르면, 2020년 탈모로 병원 치료를 받은 약 23만 명 중 10만 명이 20대~30대였어요.
탈모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면서, 진료비 지출도 커졌습니다. 2021년 연간 탈모 총 진료비는 419억 9,779만 원으로, 2017년(286억 4천만 원)보다 46.6%나 늘었어요.
혹시 나도 탈모일까?
어느 날부터 머리카락이 많이 빠져서 ‘나도 탈모 아닐까’ 걱정했던 적 있으신가요? 다음과 같은 상태를 탈모라고 해요.
✔️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
✔️ 두피의 굵고 검은 머리카락이 빠지는 경우
✔️ 하루에 모발이 100개 넘게 빠지는 경우
탈모는 원인에 따라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휴지기 탈모, 기타 약물 등에 의한 탈모로 나눌 수 있어요.
이 중에서는 남성형 탈모가 가장 흔합니다. 남성호르몬(Androgen)과 유전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어요.
여성형 탈모는 주로 정수리의 모발이 적어지고 가늘어지는 증상으로 발현됩니다. 출산 약 3개월 뒤에 나타나는 ‘출산형 탈모’도 많은 여성들이 경험하는 탈모 증상이에요.
탈모가 내 지갑에 미치는 영향
탈모약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100% 본인 부담인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탈모라는 질환이 ‘업무 또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 해당돼, 비급여 대상이거든요.
그런데 탈모는 장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질환입니다.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비싼 데다, 장기 치료가 필요해서 소득이 적은 청년층에게는 더 큰 부담이에요.
한편, 청년층에서 탈모가 가속화되는 이유로 학업 경쟁과 취업난이 언급되기도 합니다. 청년 탈모를 ‘사회적 질병’으로 보는 거죠.
사회적 질병인 만큼, 개인이 그 비용을 모두 부담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와요. 재정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이나 건강보험을 적용해서 사회가 부담을 나눠야 한다는 의견이에요.
실제로 사회적인 인식이 달라져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시작한 사례도 있어요. 대표적으로 ‘비만대사수술’은 2019년부터 건강보험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예전에는 ‘미용’으로 여겨져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았지만, 비만으로 인한 사회 전반적인 손실이 늘어나자 사회적 합의가 이뤄진 거예요.
지자체도 나서고 있어요
최근에는 청년들의 탈모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자체에서 나서기 시작했어요. 한 예로 작년 5월에는 서울시 성동구에서 ‘청년 탈모 치료 지원 조례’가 제정됐습니다.
조례 제정 이후, 성동구는 올해 3월부터 ‘성동구 청년 등 탈모 치료비 지원 사업’을 시작했어요. 만 39세 이하 성동구 주민이 탈모증 진단을 받은 경우, 약제비 명목으로 연간 20만 원 한도에서 지원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충남 보령시와 대구광역시에서도 조례가 통과됐어요. 보령시는 1년 이상 거주한 만 49세 이하 시민에게 2년 동안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한다고 해요.
서울시에서도 청년 탈모 지원 조례안이 발의되었지만, 아직 보류 중입니다. 이 정책의 우선순위와 형평성 등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어요. 관련된 갑론을박도 계속 이어지고 있고요.
탈모 예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탈모로 인한 청년층의 부담과 ‘사회적 질병’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지자체의 노력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탈모 예방법을 정리해 볼게요.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공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머리를 감아 두피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해야 합니다. 특히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저녁에 머리를 감는 것이 좋아요.
단백질과 비타민 등 충분한 영양 섭취도 탈모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돼요. 무리한 다이어트는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비오틴’을 복용하기도 해요
‘비오틴’은 남녀노소 복용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탈모약이에요. 비오틴은 비타민B7으로, 모발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비타민H’라는 별명도 있답니다.
비오틴은 탈모, 손발톱 강화, 혈당 안정화 목적으로 국내에서는 하루 5mg짜리 알약으로 나오고 있어요. 외국에서는 10mg 용량도 사용됩니다.
일반의약품이아닌, 건강기능식품으로분류되는비오틴은보통 900ug 이하로구성돼있어서탈모에큰효과가없을수있어요. 내상태를기준으로살피되, 제품별용량도잘보고구매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