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부터 말하기보다 글쓰기를 좋아했고, 필사를 취미로 했습니다.
작가를 꿈꾸었으나 지금은 평범한 삶을 더 꿈꾸는 직장인이 되었네요.
머니 프로필
잠실곰순이 (만 36세)
금융 성향: 숲을 보는 앵무
돈 관련 목표: 2024년 5월 청약 당첨된 아파트 잔금 마련, 입주하기
하는 일: 공공기관 기간제(홍보마케팅 업무)
연봉: 3,200만 원
월평균 실수령액: 약 230~235만 원
주거 형태: 아파트 17평 전세
현재 자산
비상금: 없음
예적금: 없음
보증금: 중소기업청년 전세자금대출 6,500만 원
대출금: 중소기업청년 전세자금대출 6,500만 원, 신용대출 1,000만 원, 주택청약저축 담보대출 100만 원
나의 한 달 돈 관리 방법
월급 관리
월급이 들어오면 한 달 생활비(고정비, 변동비) 계좌로 이체하고, 그 외 지출이 생기면 신용카드로 결제하고 있어요.
사이드잡으로 블로그를 운영합니다. 종종 애드포스트 수익이 들어오긴 하지만 소액이에요.
서포터즈 활동을 하면서 활동비를 받는데, 주로 식대나 카드대금 선결제로 지출하고 있어요.
월평균 고정비
주거비: 수도요금 5만 원, 관리비 13만 원
교통비: 집과 회사가 도보로 15분이라 매일 걸어요. 그 외 지역으로 가는 경우에는 월 2만 원 이내로 지출해요.
통신비: 인터넷 33,750원, 휴대폰 통신비 81,730원(다음 달부터 장애인 혜택으로 30% 감면 신청)
유료 구독 서비스: 넷플릭스 17,000원
자기계발: 미리캔버스 14,900원, 영어 공부(듀오링고, 말해보카)
월평균 변동비
식비: 배달음식 포함 53만 원
외식비: 15만 원
쇼핑비: 13만 원
보험료: 13만 원
편의점, 마트: 11만 원
미용비: 11만 원
의료비: 3만 원
기부: 3만 원
연간 비정기 지출
연간 여행 경비: 여행을 갈 경우 지출비용이 커서 잘 안 가는 편입니다.
연간 명절 비용: 30~50만 원
연간 경조사 비용: 50~60만 원
돈 관련 고민과 어피티의 솔루션
Q. 청약 당첨 후, 입주가 코앞인데 이직이 결정됐어요
저는 현재 만 36세 혼자 살고 있는 미혼 여성이며 공공기관에서 기간제로 단기 근무 중입니다. 지방공기업에 최종 합격해 올해 1월부터 근무하게 되었어요.
2021년 아파트 청약에 당첨돼 중도금 대출 이자를 납부하고 있으며, 올해 4월 중 입주할 예정입니다. 문제는 입주할 아파트가 새 직장과 거리가 멀어, 출퇴근에 2시간 반, 버스로 3번 환승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지금은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청약 당첨된 집의 분양권을 팔고 직장이 위치한 지역에 전세로 들어가는 것
분양권을 팔지 않고 전입신고 후 전세로 내준 뒤, 직장이 위치한 지역에 전세로 들어가는 것
둘 중 마음이 기우는 곳은 두 번째인데요, 무리한 것은 아닌지 고민이 됩니다. 현재 자금 여유가 있는 편은 아니에요. 또 작년 말에 청각장애 판정을 받아 보청기 구입비에도 돈이 적지 않게 들어갔습니다.
중도금 상환, 잔금 마련에 필요한 주택담보대출(디딤돌 등)과 장애인 금리를 알아보고 있어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A. 은행 상담을 먼저 받아 보세요
잠실곰순이 님은 중도금 상환, 잔금 대출을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알아보고 계신데요, 정책금융상품인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을 최대한 활용하셔야 해요.
디딤돌대출의 요건이 좀 더 까다롭지만, 받을 수만 있다면 가장 유리한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요. 디딤돌대출을 받고, 나머지를 보금자리론에서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디딤돌대출
만 30세 이상 미혼 단독 세대주의 경우, 디딤돌대출을 받을 수 있는 대상 주택 기준이 까다로워요. 주택 가격이 3억 원 이내여야 받을 수 있어요.
장애인가구에 0.2%p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보금자리론
- 장애인가구라면 사회적 배려층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요. 주택 가격 6억 원 이하, 주택면적 85㎡의 경우 0.4%p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둘 다 받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은행 대출 상담을 최대한 활용해 결정하셔야 해요. 최적의 방법을 찾는 걸 떠나서, ‘애초에 불가능한 시나리오’를 일찍이 찾아내, 소거할 필요가 있거든요.
사람이 많지 않은 시간대에 은행 영업점에 방문해, 잠실곰순이 님의 소득과 신용 현황(대출 한도 등)에서 어떤 정책금융상품을 적용받을 수 있는지 상담 받아보시는 걸 추천 드려요.
입주할 아파트, 이사할 지역 부동산을 충분히 둘러보세요
현재 거주 중인 전셋집도 만기가 아직 남아있지만, 집이 제때 나가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니 미리 이삿날을 받아두셔야 해요.
그리고는 이사 갈 지역에서 부동산 발품을 많이 팔아보세요. 이삿날을 받아놔야 이사 갈 지역의 매물을 제대로 둘러보고, 정확하게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집이 나가길 원하는 시점에 전세 세입자가 들어오지 않거나, 내가 들어갈 전셋집을 찾지 못할 가능성도 있으니, 플랜B도 고려해 봐야 해요.
당분간 분양받은 집에 거주하며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한다
짐을 보관이사 업체에 맡기고, 단기 임대로 직장 근처에 거주한다
이 두 가지 경우에 월 얼마의 비용이 발생하는지도 계산해 보세요. 모든 타이밍이 딱 맞게 돌아가면 좋겠지만, 지금은 부동산 시장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도 대비해야 합니다.
지출을 극적으로 줄여야 해요
잠실곰순이 님은 현재 여유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에요. 이 상황에서 큰돈이 오가는 결정을 잘 내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발품을 팔며 정보를 얻는 동시에, 지출을 줄여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는 자금을 만드는 것도 굉장히 중요해요. 새집에 입주할 때, 전세로 이사 갈 때 돈 나갈 일이 생각보다 더 많거든요. 대출 상환 등 고정비에 들어갈 돈이 커질 예정이기도 하고요.
현재 지출 구조에서 극적인 변화가 필요해요. 특히 편의점, 마트 등을 포함하면 식비만 월 80만 원가량, 즉 30% 넘게 나가고 있는데요, 이건 절반 이상 줄여야 합니다.
이사 후 주거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쇼핑, 카페, 미용에 들어가는 변동비도 아예 안 쓴다고 생각하고 지출을 확실하게 줄여주세요. 고정비, 변동비 외의 지출은 신용카드로 결제한다고 하셨는데, 이 습관도 없애야 합니다.
올해는 이직과 내 집 마련, 입주, 직장 근처로 이사 등 변화가 많은 시점입니다. 기존의 습관을 그대로 유지하면, 큰 지출이 발생하거나 현금 여력이 없어 연체가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해요.
외부 환경의 변화에 맞춰 나의 돈관리 습관도 완전히 고친다고 생각하고, 마음을 굳게 먹어야 할 때예요.
어릴 적부터 말하기보다 글쓰기를 좋아했고, 필사를 취미로 했습니다.
작가를 꿈꾸었으나 지금은 평범한 삶을 더 꿈꾸는 직장인이 되었네요.
머니 프로필
잠실곰순이 (만 36세)
금융 성향: 숲을 보는 앵무
돈 관련 목표: 2024년 5월 청약 당첨된 아파트 잔금 마련, 입주하기
하는 일: 공공기관 기간제(홍보마케팅 업무)
연봉: 3,200만 원
월평균 실수령액: 약 230~235만 원
주거 형태: 아파트 17평 전세
현재 자산
비상금: 없음
예적금: 없음
보증금: 중소기업청년 전세자금대출 6,500만 원
대출금: 중소기업청년 전세자금대출 6,500만 원, 신용대출 1,000만 원, 주택청약저축 담보대출 100만 원
나의 한 달 돈 관리 방법
월급 관리
월급이 들어오면 한 달 생활비(고정비, 변동비) 계좌로 이체하고, 그 외 지출이 생기면 신용카드로 결제하고 있어요.
사이드잡으로 블로그를 운영합니다. 종종 애드포스트 수익이 들어오긴 하지만 소액이에요.
서포터즈 활동을 하면서 활동비를 받는데, 주로 식대나 카드대금 선결제로 지출하고 있어요.
월평균 고정비
주거비: 수도요금 5만 원, 관리비 13만 원
교통비: 집과 회사가 도보로 15분이라 매일 걸어요. 그 외 지역으로 가는 경우에는 월 2만 원 이내로 지출해요.
통신비: 인터넷 33,750원, 휴대폰 통신비 81,730원(다음 달부터 장애인 혜택으로 30% 감면 신청)
유료 구독 서비스: 넷플릭스 17,000원
자기계발: 미리캔버스 14,900원, 영어 공부(듀오링고, 말해보카)
월평균 변동비
식비: 배달음식 포함 53만 원
외식비: 15만 원
쇼핑비: 13만 원
보험료: 13만 원
편의점, 마트: 11만 원
미용비: 11만 원
의료비: 3만 원
기부: 3만 원
연간 비정기 지출
연간 여행 경비: 여행을 갈 경우 지출비용이 커서 잘 안 가는 편입니다.
연간 명절 비용: 30~50만 원
연간 경조사 비용: 50~60만 원
돈 관련 고민과 어피티의 솔루션
Q. 청약 당첨 후, 입주가 코앞인데 이직이 결정됐어요
저는 현재 만 36세 혼자 살고 있는 미혼 여성이며 공공기관에서 기간제로 단기 근무 중입니다. 지방공기업에 최종 합격해 올해 1월부터 근무하게 되었어요.
2021년 아파트 청약에 당첨돼 중도금 대출 이자를 납부하고 있으며, 올해 4월 중 입주할 예정입니다. 문제는 입주할 아파트가 새 직장과 거리가 멀어, 출퇴근에 2시간 반, 버스로 3번 환승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지금은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청약 당첨된 집의 분양권을 팔고 직장이 위치한 지역에 전세로 들어가는 것
분양권을 팔지 않고 전입신고 후 전세로 내준 뒤, 직장이 위치한 지역에 전세로 들어가는 것
둘 중 마음이 기우는 곳은 두 번째인데요, 무리한 것은 아닌지 고민이 됩니다. 현재 자금 여유가 있는 편은 아니에요. 또 작년 말에 청각장애 판정을 받아 보청기 구입비에도 돈이 적지 않게 들어갔습니다.
중도금 상환, 잔금 마련에 필요한 주택담보대출(디딤돌 등)과 장애인 금리를 알아보고 있어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A. 은행 상담을 먼저 받아 보세요
잠실곰순이 님은 중도금 상환, 잔금 대출을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알아보고 계신데요, 정책금융상품인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을 최대한 활용하셔야 해요.
디딤돌대출의 요건이 좀 더 까다롭지만, 받을 수만 있다면 가장 유리한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요. 디딤돌대출을 받고, 나머지를 보금자리론에서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디딤돌대출
만 30세 이상 미혼 단독 세대주의 경우, 디딤돌대출을 받을 수 있는 대상 주택 기준이 까다로워요. 주택 가격이 3억 원 이내여야 받을 수 있어요.
장애인가구에 0.2%p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보금자리론
둘 다 받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은행 대출 상담을 최대한 활용해 결정하셔야 해요. 최적의 방법을 찾는 걸 떠나서, ‘애초에 불가능한 시나리오’를 일찍이 찾아내, 소거할 필요가 있거든요.
사람이 많지 않은 시간대에 은행 영업점에 방문해, 잠실곰순이 님의 소득과 신용 현황(대출 한도 등)에서 어떤 정책금융상품을 적용받을 수 있는지 상담 받아보시는 걸 추천 드려요.
입주할 아파트, 이사할 지역 부동산을 충분히 둘러보세요
현재 거주 중인 전셋집도 만기가 아직 남아있지만, 집이 제때 나가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니 미리 이삿날을 받아두셔야 해요.
그리고는 이사 갈 지역에서 부동산 발품을 많이 팔아보세요. 이삿날을 받아놔야 이사 갈 지역의 매물을 제대로 둘러보고, 정확하게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집이 나가길 원하는 시점에 전세 세입자가 들어오지 않거나, 내가 들어갈 전셋집을 찾지 못할 가능성도 있으니, 플랜B도 고려해 봐야 해요.
당분간 분양받은 집에 거주하며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한다
짐을 보관이사 업체에 맡기고, 단기 임대로 직장 근처에 거주한다
이 두 가지 경우에 월 얼마의 비용이 발생하는지도 계산해 보세요. 모든 타이밍이 딱 맞게 돌아가면 좋겠지만, 지금은 부동산 시장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도 대비해야 합니다.
지출을 극적으로 줄여야 해요
잠실곰순이 님은 현재 여유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에요. 이 상황에서 큰돈이 오가는 결정을 잘 내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발품을 팔며 정보를 얻는 동시에, 지출을 줄여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는 자금을 만드는 것도 굉장히 중요해요. 새집에 입주할 때, 전세로 이사 갈 때 돈 나갈 일이 생각보다 더 많거든요. 대출 상환 등 고정비에 들어갈 돈이 커질 예정이기도 하고요.
현재 지출 구조에서 극적인 변화가 필요해요. 특히 편의점, 마트 등을 포함하면 식비만 월 80만 원가량, 즉 30% 넘게 나가고 있는데요, 이건 절반 이상 줄여야 합니다.
이사 후 주거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쇼핑, 카페, 미용에 들어가는 변동비도 아예 안 쓴다고 생각하고 지출을 확실하게 줄여주세요. 고정비, 변동비 외의 지출은 신용카드로 결제한다고 하셨는데, 이 습관도 없애야 합니다.
올해는 이직과 내 집 마련, 입주, 직장 근처로 이사 등 변화가 많은 시점입니다. 기존의 습관을 그대로 유지하면, 큰 지출이 발생하거나 현금 여력이 없어 연체가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해요.
외부 환경의 변화에 맞춰 나의 돈관리 습관도 완전히 고친다고 생각하고, 마음을 굳게 먹어야 할 때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