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로그를 작성하고, 기고해보세요!


머니로그를 보내주시면, 사연을 선정해

돈 고민에 대한 솔루션을 보내드릴게요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기고 양식이 바로 다운로드 됩니다! 

mobile background

2,000~3,000만원목돈이 필요해! 4년 차 창작노동자의 머니로그


회사에서 근무하는 창작노동자입니다. 주로 평면 그림 작업을 하고,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표현하고 있어요. 
전공과 일에 애정이 넘치는 편입니다. 경제적목표는 ‘일 때문에 인권과 건강을 포기하지 않아도 되는 정도’를 꿈꾸고 있어요.   



기본정보

토끼님댁집사 (만 32세) 

홍보물 디자인 / 창작노동자

첫 직장 기준 근속연수:4년 

세전연봉: 2,200만 원

월평균 실수령액: 170~180만 원

금융성향: 쓸 땐 쓰는 고래 
돈 관련 목표: 연말까지 자산 5천 만원으로 늘리기


지출내역

월평균 고정비: 약 108만 원

·주거비: 58만 원 

·관리비: 12만 원

·통신비: 15만 원 

·유료구독비: 8만 원 

·교통비: 5만 원

·보험: 약 12만 원 


월평균 변동비: 30~60만 원 

·식비: 20만 원

·쇼핑: 5~10만 원

·문화생활비: 5~30만 원


연간 비정기 지출비: 200~500만 원 

·경조사 비용: 200~500만 원



자산정보

·예적금: 약 1,830만 원

·보증금: 1,000만 원

·비상금: 400만 원

·주택청약: 약 2,200만 원

·IRP: 약 800만 원

·주거 형태: 부모님과 거주, 집 근처 작업실

금융상품

계좌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네이버
·카카오 세이프박스


카드

·삼성 네이버페이 taptap

·신한 LG U+ 


예적금  

·하나 365 적금

·국민은행 내맘대로 적금

·신한은행 작심삼일, 인싸 적금  






 돈 관리 방법


  • 매일 가계부를 씁니다. 직접 손으로 기록하면서 어떻게 돈을 소비했는지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더라고요.
    매주 일요일 저녁에는 한 주의 소비를 결산합니다. 항목별로 사용한 금액과 예산을 비교하고,
    남은 예산을 계산해 일정에 맞춰 메모를 작성해둬요. 그리고 10일마다 엑셀로 예산을 점검합니다.
    매월 그래프를 만들어 어느 요일에 돈이 많이 나가는지 체크하기도 해요.

  • 뱅크샐러드를 이용해 수입도 기록하고 있습니다. 매월 말에는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 목적별 저축에 맞춰
    계산하고 다음 달 예산을 작성해요. 포인트와 기프티콘도 목록으로 만들어 두었습니다.
    지출이 없는 날은 적금통장에 일당 1만 5천 원을 모으고 있어요. 지난 5월에는 10일 정도 무지출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 카드는 사용실적인 월 30만 원에 최대한 맞춰 쓰고 있어요. 나머지 지출은 신한x네이버 체크카드를 사용합니다.
    인터넷 결제를 통해 지출할 때에 신한x네이버 체크카드를 보조적으로 이용해요.



 
일주일 머니로그 시작



프롤로그 

6월의 목표 달성하기.
1. 평일 무지출 열흘.
2. 주말 흥미성 소비지출 없게 하기.
3. 일회용 빨대, 플라스틱 컵, 배달포장용기 0!
4. 하나멤버스 30만보 채우기.




DAY 1. 월요일

PM 12:00 - 병원 4,900원, 약국 4,800원
염증덩어리가 생겨서 피부과 방문. 다행히 심각한 것은 아니어서 약물처방만 받았다.



PM 5:10 - 중화요리집 10,000원
마감이 목전이라 도시락을 챙겨오지 못해서 작업실 근방의 중화요리집에서 요일별 미니 요리를 먹었다. 생각해보니까 채식당이 없는 것은 아닌데 애매하게 멀다.
*사무실에 간편식을 두는 것도 고려해보기.
간편식 4+2종 해서 5만원 가량 필요.




DAY 1 TOTAL: 19,700원




DAY 2. 화요일

AM 10:55 텀블벅 펀딩, 도서 14,000원 / 도서 25,500원 / 유튜브 프리미엄 8,690원
시장조사라고 핑계를 붙이고 싶지만 스스로 잘 알고 있는대로 '귀여워서' 구입한 도서. 14,000원.
오래 한 가지 이야기를 가지고 성실하고 섬세하게 세계를 만들어 가고 계시는 작가님의 자료집 25,500원


DAY 2 TOTAL: 48,190원



DAY 3. 수요일

AM 10:35 - 공모전 참가비 50,000원
예전처럼 떨어지면 참가비 환불인지 확인하기.

AM 11:10 - 기간내에 확인하지 못했던 펀딩 구입. 계좌이체 35,000원

AM 11:40 - 외부 일정으로 이동. 버스 1,300원.
후불체크카드사용. 1시간

PM 5:40 - 지하철 1,350원.
후불체크카드사용. 1시간


DAY 3 TOTAL: 85,000원




DAY 4. 목요일

PM 2:20 지하철 1,350원.
외부 일정으로 이동. 후불체크. 30분 가량 소모.


PM 3:30 외식. 8,000원.

외부 일정으로 점심은 밖에서 사먹었다.

PM 5:06 지하철, 1,350원.
작업실로 이동, 40분가량 소모


PM 6:06 교통비 출금 36,600원


DAY 4 TOTAL: 44.600원




DAY 5. 금요일


AM 11:40 - 버스, 1,300원.
외부 일정으로 이동. 후불체크. 1시간


PM 12:46 - 스타벅스 선불카드 700원, 체크카드로 17,300원.
친구가 보면 구매를 부탁한 원두 1봉을 구매했다.



PM 2:30 - 애플워치 할부 4/5 105,400원(무이자)
친구와 오래 고민하다가 구입한 스마트워치. 유용하게 쓰고 있지만 매달 찍히고 있는 할부는 항상 고민거리다. 그래도 한 번 남았으니까.


PM 5:40 - 지하철 1,350원.
*S사 신용카드 통신비 할인 항목이 있는지 확인해보기
*현재 통신비나가는 신용카드 할인내역 정확히 파악하기

인강플랫폼 이벤트로 쿠폰을 받은 덕에 관심있었던 인강들을 0원에 수강할 수 있게되었다.


DAY 5 TOTAL: 126,050원




DAY 6. 토요일

AM 11:46 쿠팡 선불충전 100,000원
구매: 집 생수 500ml*40 8490원/ 브리타 마렐라 xl(필터 1개 포함) 31490원
충전잔액 62,060원
*한국 브리타 필터 회수 시작 일자 확인하기.


PM 4:46 작가플랫폼 회원권 결제, 체크카드, 1,000원.


DAY 6 TOTAL: 101,000원



DAY 7. 일요일

PM 7:50 - 따릉이 이동. 2시간 6개월권 선불 제로페이로 결제해서 1일 95원 가량.

PM 8:02 - 빵 구입. 5500원(통신사할인 600원)


DAY 7 TOTAL: 5,500원




일주일 총지출

식비: 41,500원
교통비: 36,600원
문화생활비: 48,190원

사업: 86,000원
의료비: 9,700원
할부: 105,400원
기타: 100,000원
 427,390원




에필로그

이번 머니로그를 작성하면서 월초에 지출 비중이 많다는 걸 확실히 깨달았다. 텀블벅 펀딩으로 구하는 작업용 자료들은 나중에 구입할 수 있을지 불분명해 매일 구입하다보니 사업과 기타 부분 지출이 많아졌다. 또 이번에 지른 할부가 확실히 재정에 압박을 준다는 점을 느꼈다. 





 돈 관련 고민과 어피티의 솔루션


Q1. 
투자를 시작해보고 싶어요

작품의 저작권이나 인세로 수익을 내는 일이 창작노동자에게 가장 좋을 텐데요. 아직 그 부분을 크게 기대하기 힘든 상태입니다. 따로 투자를 해야 하나 고민이에요. 매일 투자한 상품을 관리할 자신은 없어서 장기적인(최소 1년~ 그 이상) 투자를 하고 싶습니다. 


본업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생활에 도움이 되면 좋겠어요. 월 목표인 매달 85만 원의 저축금액을 줄이고 싶진 않아서 너무 어렵습니다. 


A1. 
소액 주식 투자와
IRP 자산배분으로 시작해보세요!
 


토끼님댁집사 님, 돈 관리를 정말 잘하고 계시네요. 돈이 어디서 들어오고 어디로 얼마나 나가는지를 꼼꼼하게 체크하는 모습은 칭찬해드리고 싶어요. ‘나도 모르게 빠져나가는 돈’이라는 게 토끼님댁집사 님에게는 전혀 없을 것 같아요. 

이렇게 돈 관리 습관을 잘 들여놓으신 덕에 직장생활을 한 지 4년 만에 - 5천만 원이 넘는 목돈을 모을 수 있었을 거예요. 

지금까지 잘해오신 ‘돈 관리’와 앞으로 적극적으로 시도해야 할 ‘자산 배분’에는 차이가 있답니다.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비유해 볼까요? 내가 섭취한 칼로리와 사용한 칼로리를 잘 계산하는 건 돈 관리와 비슷합니다. 인바디를 통해 자신의 몸 상태를 파악하는 건 자산현황을 파악하는 것과 비슷하죠. 

토끼님댁집사 님은 칼로리 관리를 잘하면서 인바디를 규칙적으로 체크하는 분입니다. 이제는 섭취한 칼로리, 즉 내가 번 돈을 자산으로 불리기 위한, 새로운 운동을 시작할 타이밍이죠. 

새로운 운동이 바로 ‘투자’입니다. 토끼님댁집사 님은 금융기초가 잘 잡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투자를 시작하더라도 무리하지 않고 꾸준히 수익률을 관리하실 수 있을 거예요.

투자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주식과 ETF를 소액으로 몇 주라도 사보세요. 알 만한 기업의 주식 1주, 거래량이 가장 많은 ETF 1주만 사도 됩니다. 내 돈이 기업과 시장의 상황에 따라 어떻게 움직이는지 지켜보세요. 

매주 지출을 정리하는 것처럼 주 단위로 주가가 왜, 어떻게 움직였는지 확인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좀 더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싶다면 특정 산업이나 국가와 관련된 ETF를 1주 더할 수도 있습니다. 토끼님댁집사 님의 투자목표는 수익이 아니라 경험 습득이라는 점을 꼭 기억해두세요.

두 번째, IRP(개인형 퇴직연금계좌)로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IRP에 800만 원이 납입돼있지만 투자를 아직 시작하지 않았다고 하시는 걸 보면, 세액공제를 위해 IRP에 가입해 현금을 추가납입해두신 것 같아요. 

IRP는 스스로 직접 여러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IRP 계좌의 자산 중 최대 70%까지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어요. 토끼님댁집사 님의 경우, 800만 원의 70%인 560만 원을 위험자산에 배분할 수 있다는 거죠. 위험자산에는 ETF, 주식형 펀드, 리츠 등이 있습니다. 

나머지 자산은 예적금이나 원금보장형 투자상품에 넣을 수 있습니다. IRP라는 돈주머니 안에서 여러 은행, 저축은행, 보험사, 증권사, 자산운용사의 상품에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투자도 마켓타이밍, 즉 시장의 움직임에 따라 전략을 수정해가는 방식보다는 처음에 여러 곳에 자산을 잘 배분해두고 분기, 반기별로 리밸런싱하는 전략으로 접근해주세요. 자산 배분에 대해서는 책 <절대수익 투자법칙>을 추천해 드릴게요!

또 하나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IRP는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을 목표로 길게 가져가는 상품이라는 점이에요.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보험료를 납입하듯, 유지할 수 있는 납입금액을 정해보세요. 

최대한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700만 원을 채워 넣는 것도 아직은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세액공제는 세금을 덜어내기 위한 건데, 현재 소득으로는 세금이 적게 발생하거든요. IRP 세액공제를 최대로 받더라도 깎을 세금 자체가 작은 규모일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를 받기 전, 연 100만 원 이상의 세금이 발생했을 때 IRP 세액공제를 받으면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소득이 적을 때는 본인이 납부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으로 납입금액을 정해주세요.

Q2. 
목돈을 빨리 모으는 방법이 있을까요? 

저는 ‘3년 안에 부모님과 전원주택으로 이사 또는 미국 유학’이라는 목표가 있어요. 그래서 목돈을 모아야 하는데, 신용카드를 없애면 좀 더 빠르게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고민이 됩니다.

전원주택은 빈 땅부터 시작하면 너무 먼 목표가 되어버릴 것 같아서 지어진 집이 매물로 나온 걸 구매할 계획입니다. 전원주택으로 가려는 이유 중 하나는 제 사업을 하고 싶어서 이기도 한데요, 창작자로서 여러 가지 상품을 자체 제작 판매를 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2층으로 된 전원주택을 찾는다면 재고 보관도 용이할 것 같아서요. 신용카드는 신한 LG U+와 삼성 네이버페이 taptap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위해 신용카드를 한 장 또는 모두 없애는 게 합리적인 결론이 맞을까요? 

A2.
변동비를 고정비처럼,
체크카드로 관리하세요!

 

목돈을 모으는 데 지름길이 있으면 좋겠지만 결국 소득을 늘리고 지출을 줄여 남는 돈을 불려야 합니다. 신용카드에 대한 고민을 말씀해주셨는데요,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를 이용해 월 변동비 지출을 통제하면 토끼님댁집사 님은 더 많은 돈을 모을 수 있을 거예요!

현재 식비 20만 원에 쇼핑비 5~10만 원, 문화생활 5~30만 원으로 책정돼있는데요. 쇼핑비와 문화생활의 경우 최소 금액과 최대 금액의 차이가 큰 편입니다. 아무래도 신용카드를 사용하면서 나타난 결과인 것 같은데요. 신용카드는 마음만 먹으면 뭐든 결제할 수 있어서, 예산 내에서 지출을 통제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전월실적 30만 원을 채워야 할인이나 포인트 적립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할인과 포인트 역시 소비를 해야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죠. 소비를 위한 소비를 부르는 게 신용카드인 만큼, 목돈을 모아야 할 목표가 명확한 지금 단계에서는 신용카드 사용을 줄이는 걸 권해드립니다.

쇼핑비와 문화생활을 ‘용돈’으로 묶고, 용돈으로 지출할 월 예산을 잡은 뒤 체크카드에 예산만큼 채워 사용해보세요. 이렇게 하면 현재 변동비로 묶여있는 쇼핑과 문화생활 비용도 고정비처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어피티 구독자 분 중에 본가에 거주하면서 집 밖에서 지출하는 모든 비용을 월 40만 원 이내에서 해결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변동비라는 개념 없이, ‘나는 매달 40만 원만 고정적으로 쓴다’라고 생각하고 지출을 통제하는 거예요. 그러다가 한 달 동안 다 쓰고도 40만 원을 채우지 못했을 때 내가 사고 싶은 걸 사는 데 사용하고요. 

 

UPPITY’s comment

이미 지출 통제가 잘 되고 있어서 신용카드에서 체크카드로 변경하더라도 무리가 없을 거예요. 3년 뒤에 원하는 목표도 달성하고, 투자도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로 잘 해내실 겁니다. 늘 어피티가 마지막으로 하는 말이 있죠? 목표를 이룰 그날까지, 어피티가 함께 할게요.



0

매일 아침 찾아오는 나를 위한 경제 뉴스레터
MONEY LETTER





선택 취소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어피티(법인명: 주식회사 포브미디어)의 뉴스레터 서비스인 머니레터 발송을 위해 이메일, 이름(또는 닉네임)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머니레터를 통한 뉴스 정보 제공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수신 거부는 머니레터 메일 내 최하단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링크를 클릭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수신거부를 요청한 경우, 해당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