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한눈에 

경제뉴스

mobile background

글로벌[2022. 03. 21] 미국 금리 인상 후폭풍은?

무슨 일이 있었냐면요


현지시간 16일, 미국 연준(FED)이 3년 3개월만에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습니다. 미 연준 회의인 FOMC는 올해 6번 남았는데, 회의를 할 때마다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왔어요.


좀 더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무엇보다 부동산 담보대출이 큰 부담이 됩니다. 미국에서는 이미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4%로 급상승했어요. 기준금리 계속 인상되면 대출금리도 더 오르게 될 거예요. 


우리나라도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을 받아요.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보다 낮게 유지되면 외국인 자금 유출이나 환율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 연 1.25%에서 2~3차례 올릴 가능성이 커요.


독자님이 알아야 할 것


  • 금리인상은 부동산 시장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동산 규제가 완화될 조짐이 보이면서 부동산 시장을 부양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금리 인상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거래량이 크게 늘어날 것 같지는 않다는 전망도 있어요
  • 한국은행 관계자는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했던 자금이 예·적금으로 이동하는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2년 미만 만기 예·적금 상품에 몰린 돈이 한 달만에 22조 7천억 원이나 늘어났다고 해요. 
  •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기관입니다. 그런데 한국은행 현 총재 임기가 이번달 말에 끝나고 후임 후보자가 지명되지 않아, 다음달 14일 기준금리를 정하는 회의를 총재 없이 진행할 수도 있어요.   

매일 아침 찾아오는 나를 위한 경제 뉴스레터
MONEY LETTER





선택 취소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어피티(법인명: 주식회사 포브미디어)의 뉴스레터 서비스인 머니레터 발송을 위해 이메일, 이름(또는 닉네임)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머니레터를 통한 뉴스 정보 제공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수신 거부는 머니레터 메일 내 최하단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링크를 클릭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수신거부를 요청한 경우, 해당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