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일이 있었냐면요
지난해부터 물가 상승 이야기가 꾸준히 나오고 있죠. 대파와 계란값이 폭등했던 올해 봄, 머니레터에서도 식료품 물가가 치솟는 ‘애그플레이션’을 다루기도 했어요. 그런데 이번에는 식료품 물가를 포함한 소비자물가는 물론, 회사에서 상품을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인 생산자물가도 걱정할 만한 수준으로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좀 더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물가가 오른 데는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를 살리려고 기준금리를 낮추고 재난지원금을 푸는 등 유동성이 커진 탓도 있지만, 사실 ‘왜 우리나라만 이렇게 물가가 비싸고 먹고살기 팍팍할까?’라는 이야기는 10년 전에도 했던 이야기예요.
10년 전인 2011년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가 상승 압력이 특히 심각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당시 전문가와 정부는 ‘외부 충격에 약한 경제구조’ 때문이라고 물가 상승의 원인을 지적했어요. 이유는 여러 가지였습니다.
①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풀린 유동성 자금이 원자재 가격 상승을 자극
② 기상이변 때문에 농산물 수급이 어려움
③ 수출 효율성을 위한 저금리·성장 우선 경제정책의 부작용
④ 높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서 ①의 금융위기를 ‘코로나19 판데믹’으로 바꾸면 말이죠. 심지어 올해는 ②의 기상이변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 해외 수입 농산물 가격도 오른 데다, 농촌의 일손인 이주노동자의 노동력도 코로나19 때문에 수급이 어려워 정도가 심각했어요.
독자님이 알아야 할 것
📚 참고한 자료
지난해부터 물가 상승 이야기가 꾸준히 나오고 있죠. 대파와 계란값이 폭등했던 올해 봄, 머니레터에서도 식료품 물가가 치솟는 ‘애그플레이션’을 다루기도 했어요. 그런데 이번에는 식료품 물가를 포함한 소비자물가는 물론, 회사에서 상품을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인 생산자물가도 걱정할 만한 수준으로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물가가 오른 데는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를 살리려고 기준금리를 낮추고 재난지원금을 푸는 등 유동성이 커진 탓도 있지만, 사실 ‘왜 우리나라만 이렇게 물가가 비싸고 먹고살기 팍팍할까?’라는 이야기는 10년 전에도 했던 이야기예요.
독자님이 알아야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