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한눈에 

경제뉴스

mobile background

생활경제[2023. 02. 23] 경제: 나 힘들어…

경제고통지수가 높아졌어요

우리나라의 올해 1월 경제고통지수가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높았어요. 경기고통지수는 미국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제시한 지표로, 실업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더해 계산합니다. 올해 1월이 1996년 6월에 실업률 집계 기준을 변경한 시점 이후, 1월만 두고 비교했을 때 최고치를 기록한 거예요

이제는 실업률도 문제예요

전체 월을 기준으로 하면, 2022년 7월의 경제고통지수가 가장 높습니다. 이때는 경제고통지수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컸어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넘어섰을 때였으니까요. 하지만 지금은 물가 상승에 더해 실업률이 차지하는 비중도 만만치 않습니다. 

올해 고통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요

현재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5%대에서 움직입니다. 작년 중순에 정점을 찍고 내려오는 듯 했지만, 전기요금, 가스비 등 공공요금이 올라 물가 상승세를 떠받히고 있어요. 소비자들도 앞으로 1년간의 물가 전망을 4%대로 제시했습니다. 전보다 높아진 수치로, 소비자 입장에서도 물가 안정을 기대하지 못하고 있는 거예요.

어피티의 코멘트

JYP: 정부가 안정시키려고 하는 물가지수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예전에는 에너지, 식료품 등을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를 바탕으로 금리를 조절해왔는데요, 이걸 기준으로 하면 체감물가와 괴리된다고 생각해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기준으로 삼게 됐어요.

매일 아침 찾아오는 나를 위한 경제 뉴스레터
MONEY LETTER





선택 취소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어피티(법인명: 주식회사 포브미디어)의 뉴스레터 서비스인 머니레터 발송을 위해 이메일, 이름(또는 닉네임)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머니레터를 통한 뉴스 정보 제공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수신 거부는 머니레터 메일 내 최하단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링크를 클릭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수신거부를 요청한 경우, 해당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