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돈 이야기 

머니칼럼

mobile background

돈 벌기[#GRWM 재무제표] 영업이익으로 재무제표 읽기


오늘은 투자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영업이익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치킨으로 알아보는

영업이익


먼저 ‘영업이익’이 무엇인지 치킨집 예로 살펴볼게요.

 

  • 치킨집에서 치킨 한 마리를 2만 원에 100마리를 팔았습니다.
  • 매출액이 200만 원이 나왔습니다.
  • 여기서 ‘매출원가’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입니다. 
  • 치킨집의 매출원가는 닭고기, 맥주 등 음료수, 조미료, 무 등이 포함되겠죠.
  •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이 ‘매출총이익’입니다. 
  • 직원 월급도 줘야 하고, 가게 임차료, 치킨집 광고 등 치킨집 영업을 유지하는데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 비용을 ‘판매비와 관리비(판관비)’라고 합니다. 
  • 사장님은 2만 원의 치킨을 팔아서 매출원가 8천 원, 판매비와 관리비 8천 원을 써서 한 마리 당 4천 원의 이익을 남겼습니다. 이걸 100마리로 곱하면 40만 원. 바로 이 40만 원이 ‘영업이익’입니다. 일상적인 기업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말합니다.
  •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관비
  • 치킨 100마리로 발생한 영업 이익 40만 원 = (치킨 가격 2만 원 - 원재료 8천 원 - 판관비 8천 원)X100


영업이익이 증가한다는 건 기업에 아주 좋은 일입니다. 기업의 목적은 영리 추구니까 당연한 일이겠죠. 



직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

투자 시뮬레이션


영업이익과 매출은 분기별로 분기보고서, 연간으로 사업보고서 속 ‘재무제표’를 통해 발표됩니다. 

이 중 분기보고서에 나와 있는 영업이익 지표를 보고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어요. 먼저 분기보고서 제출 기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 1분기: 5월 15일 
  • 2분기: 8월 15일 
  • 3분기: 11월 15일
  • 4분기: 3월 31일


4분기 보고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각 분기가 마감되는 날짜로부터 45일 이내로 분기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연초에는 전년도 사업 실적을 ‘사업보고서’로 발표하고, 외부 감사를 받은 뒤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는 일정 때문에 굉장히 바쁩니다. 

그래서 4분기 보고서는 제출 기한을 두 배(90일)로 줘요.


✅ 고 영업이익 증가율 전략 체크포인트


재무제표가 나오는 달 말일에 직전 분기 대비 가장 영업이익이 많이 오른 기업 20개를 매수해 1년 보유한 후, 다음 분기가 되면 파는 과정을 14년간 반복했습니다. 

이 방법을 ‘고 영업이익 증가율 전략’이라고 부를게요. 


14년 동안 ‘고 영업이익 증가율 전략’으로 투자했다면, 원금은 15배 이상 증가했고, 14년 동안 연 평균 수익률, 즉 복리 수익률은 21.7%를 기록했습니다. 


고 영업이익 증가율 전략, 2007.1-2020.12


리스크가 전혀 없는 전략은 아닙니다.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영업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종목을 샀어도 52.1%의 최대 낙폭(MDD)이 나온 적이 있습니다.


또 14년간 277개월 동안 투자했다면 전체 기간 중 64.9%인 168개월만 돈을 벌고, 109개월 동안에는 손실을 기록했을 겁니다. 

즉 3개월 중 1개월은 포트폴리오가 손실이 있었다는 뜻이죠.


하지만 이 전략을 14년 동안 유지했다면 복리수익률 21.7%를 벌 수 있었습니다. 어마어마한 수치죠?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

투자 시뮬레이션


많은 기업들이 계절의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가게는 더운 여름, 즉 2~3분기에 매출과 영업이익이 높고 겨울인 1분기, 4분기의 영업이익은 비교적 안 좋겠죠.


이런 곳은 올해 2분기 실적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확인하려면 ‘직전 분기’인 1분기보다는 ‘전년 동기’인 작년 2분기와 비교하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여기에 맞게 투자 전략을 조금 개선해 봤습니다.  

 

재무제표가 나오는 달 말일에 ① 직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 ②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의 두 지표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고, 평균 순위가 가장 높은 20개 기업의 주식을 매수합니다. 이 작업을 매 분기마다 반복해서 14년간 투자했더니,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 전략, 2007.1-2020.12


영업이익이 직전 분기,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성장한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은 매우 수익이 높았습니다. 

연 복리수익률이 30%를 뚫어버렸습니다. 원금이 14년 만에 41배가 되는, 대단히 높은 수익률이에요. 


물론 이것 역시 금융위기 시기에 발생한 49.8%의 최대 낙폭(MDD)을 견뎌야 얻을 수 있는 수익입니다. 

최근 274개월 중 168개월만 돈을 벌었고(63.1%), 나머지 106개월은 돈을 잃었죠.

 

2020년 3분기 기준으로 어떤 기업의 영업이익 증가율이 우수했을까요?


생소한 기업들이 많죠? 15년 동안 투자한 제 경험에 빗대어 보면, 이렇게 별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회계 지표가 우수한 기업에서 높은 수익률이 나옵니다.

 

20개 기업 중에서 반도체장비를 파는 ‘유진테크’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어떤 이야기인지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 2019년 3분기 영업이익이 25억 원입니다. 
  • 2020년 2분기 영업이익은 7억 원입니다.
  • 2020년 3분기에 영업이익은 144억 원으로 껑충 뛰었습니다.
  • 3분기 실적을 발표한 2020년 11월 16일 ‘유진테크’의 주가는 3만 원이었습니다. 현재 40,700원(21. 2. 8 기준)에 거래되고 있어요.


✅ 체크포인트

  1.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기업에 투자한다고 모든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2. 하지만 오를 확률이 떨어질 확률보다 높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재무제표의 영업이익을 이용하면 성공적인 투자 공식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순이익에 대해 함께 알아볼게요.


매일 아침 찾아오는 나를 위한 경제 뉴스레터
MONEY LETTER





선택 취소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어피티(법인명: 주식회사 포브미디어)의 뉴스레터 서비스인 머니레터 발송을 위해 이메일, 이름(또는 닉네임)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머니레터를 통한 뉴스 정보 제공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수신 거부는 머니레터 메일 내 최하단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링크를 클릭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수신거부를 요청한 경우, 해당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